드림오구
article thumbnail

🌊 TIL : 2023년 3월 28일  </span ></span >

 

오늘 배운 것

 

Client Server Architecture

클라이언트 - 서버 아키텍처 - 데이터베이스 (3티어 아키텍처)

  • 클라이언트 :
    리소스를 사용하는 앱 (요청)
  • 서버 :
    리소스를 제공하는 곳 (응답)
    일반적으로 리소스를 전달해 주는 역할만을 담당
  • 데이터베이스 :
    리소스를 저장하는 별도의 공간 

  클라이언트
웹 플랫폼 웹사이트, 웹 앱
스마트폰/태블릿 플랫폼 (IOS, 안드로이드),
데스크탑 플랫폼

 

클라이언트 - 서버 통신과 API

프로토콜 : 통신 규약, 즉 약속. 요청을 하기 위해서 꼭 지켜야 하는 약속
HTTP :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에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HTTP라는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서로 대화를 나눈다.

HTTP를 이용해 나눈 메시지를 "HTTP 메시지"라고 부른다.

 

 

OSI 7 Layers

 

응용 계층 프로토콜

프로토콜 이름 설명
HTTP 웹에서 HTML, JSON 등의 정보를 주고 받는 프로토콜
HTTPS HTTP에서 보안이 강화된 프로토콜
FTP 파일 전송 프로토콜
SMTP 메일 전송 프로토콜
SSH CLI 환경의 원격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
RDP Windows 계열의 원격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
Websocket 실시간 통신, Push 등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전송 계층 프로토콜

프로토콜 이름 설명
TCP HTTP, FTP 통신 등의 근간이 되는 인터넷 프로토콜
UDP (양방향의 TCP와는 다르게) 단방향으로 작동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훨씬 더 단순하고 빠르지만 신뢰성이 낮다.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리소스를 잘 활욯알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줘야 한다. 

API는 메뉴판과도 같다. 

 

요청 URL 디자인 예제
아메리카노 한 잔 주세요 /coffee/americano
망고 프라푸치노 한 잔 주세요 /frapppuccino/mango
콜드브루 두 잔 주세요 /coffee/coldbrew?quantity=2
아메리카노 두 잔 전부 헤이즐럿 시럽 넣어주세요. /coffee/americano?quantity=2&syrup=hazelnet

인터넷에 있는 데이터를 요청할 때에는 HTTP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주소(URL, URI)를 통해 접근할 수 있게 된다.

헤이즐럿 시럽 같은 옵션을 파라미터라고 부르며, 파라미터를 사용하기 위해 물음표(?)앰퍼샌드(&)를 이용한다.

 

HTTP 요청시 메서드를 지정하여 리소스와 관련된 행동 (CRUD; create/read/update/delete)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URL과 URI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 네트워크 상에서 웹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등의 파일이 위치한 정보. scheme, hosts, url-path로 구분할 수 있다.

  • scheme : 통신 방식 (프로토콜)을 결정한다.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에서는 http(s)를 사용한다. 
  • hosts : 웹 서버의 이름이나 도메인, IP를 사용하며 주소를 나타낸다.
  • url-path : 웹 서버에서 지정한 루트 디렉토리부터 시작하여 웹 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등이 위치한 경로와 파일명을 나타낸다.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 일반적으로 URL의 기본 요소인 scheme, hosts, url-path에 더해 query, fragment를 포함한다. 브라우저의 검색창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주소가 URI. URI는 URL을 포함하는 상위개념. UIL은 URI지만 URI는 URL이 아니다

  • query : 웹 서버에 보내는 추가적인 질문 
  • fragment : 일종의 북마크. URL에 fragment(#)와 특정 HTML 요소의 id를 전달하면 해당 요소가 잇는 곳으로 스크롤 할 수 있다. 
부분 명칭 설명
file://, http://, https:// scheme 통신 프로토콜
127.0.0.1, www.google.com hosts 웹 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등의 파일이 위치한 웹 서버, 도메인 또는 IP</span >
:80, :443, :3000 port 웹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통로
/serach, /User/username/Desktop uri-path 웹 서버의 루트 디렉토리로부터 웹 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등의 파일이 위치까지의 경로</span >
q=JavaScript query 웹 서버에 전달하는 추가 질문

 

IP와 포트

IP(Internet Protocol) adress : 네트워크에 연결된 특정 PC의 주소를 나타내는 체계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 : 네 덩이의 숫자로 구분된 IP 주소 체계 

  • localhost, 127.0.0.1 : 현재 사용 중인 로컬 PC를 지칭
  • 0.0.0.0, 255.255.255.255 : broadcast address.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 된 모든 장치와 소통하는 주소. 서버에서 접근 가능 IP주소를 broadcast address로 지정하면 모든 기기에서 서버로 접근할 수 있다

IPv6 : IPv4로 할당 할당 할 수 있는 수보다 PC의 수가 많아져 고안 된 표기법. 2^(128)개의 IP주소를 표현 가능 x:x:x:x:x:x:x:x</b > </span >

 

터미널에서 IPv4 주소 확인하는 법 :

nslookup <URL>

PORT : localhost:3000처럼 IP 주소 뒤에 붙은 :숫자. 이 숫자는 PC에 접속할 수 있는 통로를 의미한다. 포트 번호는 0~65535까지 사용 가능하며 0~1024번까지는 주요 통신을 위한 규약에 따라 이미 정해져 있다.

  • 22 : SSH
  • 80 : HTTP
  • 443 : HTTPS

 

도메인과 DNS

도메인(Domain) : IP주소가 지번 또는 도로명 주소라면, 도메인 이름은 해당 주소에 위치한 상호라고 할 수 있다.

DNS(Domain Name System) :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IP로 변환하거나 반대의 경우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주소창에 도메인을 입력시 DNS에서 IP주소를 찾고 해당하는 웹 서버로 요청을 전달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할 수 있게 한다.</span >

 

 

크롬 브라우저 에러

크롬 전체 에러메세지 목록 : chrome://network-errors/을 검색창에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다.</span >

Error Message Description
"Aw, Snap!" ("앗, 이런!") Chrome 브라우저에서 페이지를 로드하는 데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ERR_NAME_NOT_RESOLVED 호스트 이름(웹 주소)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ERR_INTERNET_DISCONNECTED 사용 중인 기기가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았습니다.
ERR_CONNECTION_TIMED_OUT
ERR_TIMED_OUT
페이지에 연결하는 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립니다. 인터넷 연결이 너무 느리거나, 웹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가 많아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ERR_CONNECTION_RESET 웹페이지 연결을 방해하는 요소가 어딘가에 발생했습니다.
ERR_NETWORK_CHANGED 웹페이지를 로드하는 중에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이 해제되었거나, 새로운 네트워크에 연결되었습니다.
ERR_CONNECTION_REFUSED 웹페이지에서 Chrome 브라우저의 연결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ERR_CACHE_MISS 웹페이지로부터 이전에 입력한 정보를 다시 한번 제출하도록 요청받았습니다.
ERR_EMPTY_RESPONSE 웹페이지에서 데이터를 전혀 전송하지 않았으며, 데이터를 전송할 서버가 다운되었을 수 있습니다.
ERR_SSL_PROTOCOL_ERROR 페이지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Chrome 브라우저가 해석하지 못했습니다.
ERR_BAD_SSL_CLIENT_AUTH_CERT 클라이언트 인증서(은행 또는 회사 내부 웹사이트 등)에 오류가 발생하여 웹페이지에 로그인할 수 없습니다.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TML과 같은 문서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의 소통을 위해 디자인 되었다. 

 

HTTP Messages :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데이터가 교환되는 방식 

  • 요청 (Requests)
  • 응답 (Response)

  1. start line : 요청이나 응답의 상태 (응답에서는 status line)
  2. HTTP headers : 요청을 지정하거나 메세지에 포함된 본문을 설명하는 헤더의 집합
  3. empty line : 헤더와 본문을 구분하는 빈 줄
  4. body : 요청과 관련된 데이터나 응답과 관련된 데이터 또는 문서를 포함. 요청과 응답의 유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Stateless : 상태를 가지지 않았다는 뜻. HTTP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을 주고 받는 과정에서 HTTP가  클라이언트나 서버의 상태를 확인하지 않는다. Stateless(무상태성)가 HTTP의 큰 특징이다.

 

 

HTTP Requests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보내는 메세지

 

Start line

  • 수행할 작업 (GET, PUT, POST 등)이나 방식 (HEAD or OPTIONS)을 설명하는 HTTP method를 나타낸다. 
    Get 메서드는 리소스를 받아야 하고, POST 메서드는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한다.
  • 요청 대상 (일반적으로 URL이나 URI) 또는 프로토콜, 포트, 도메인의 절대 경로는 요청 컨텍스트에 작성된다. 이 요청 형식은 HTTP 메서드마다 다르다.
    • origin 형식 : '?'와 쿼리 문자열이 붙는 절대 경로. GET, POST, HEAD, OPTIONS등의 메서드함께 사용한다.
      POST / HTTP 1.1</s >
      GET / background.png HTTP/1.0
      HEAD /  test.html?query=oguogu HTTP/1.1</s >
      OPTIONS / anypage.html HTTP/1.0
    • authority 형식 : 도메인 이름과 포트 번호로 이루어진 URL의 일부분. HTTP 터널을 구축하는 경우 CONNECT와 함께 사용 가능
      CONNECT developer.mozilla.org:80 HTTP/1.1</s >
    • asterisk 형식 : OPTIONS와 함께 별표(*) 하나로 서버 전체를 표현한다. OPTIONS * HTTP/1.1
  •  HTTP 버전에 따라 HTTP Message의 구조가 달라진다. start line에 HTTP 버전을 함께 입력한다.

Headers : 기본 구조를 따른다. 헤더 이름(대소문자 구분이 없는 문자열), 콜론(:), 값을 입력한다. 값은 헤더에 따라 다르며 여러 종류의 헤더가 있고, 다음 같이 그룹을 나눌 수 있다. 

  • General headers : 메세지 전체에 적용되는 헤더. body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와는 관련이 없다.
  • Request headers : fetch를 통해 가져올 리소스나 클라이언트 자체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User-Agent, Accept-Type, Accept-Language와 같은 헤더는 요청을 보다 구체화한다.
  • Representation headers : 이전에는 Entity headers로 불렸다. body에 담긴 리소스의 정보(콘텐츠의 길이, MIME타입 등)을 포함하는 헤더

Body : HTTP message의 마지막에 위치한다. GET, HEAD, DELETE, OPTIONS처럼 서버에 리소스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body가 빌요하지 않다. POST나 PUT과 같은 일부 요청은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사용한다.

  • Single-resource bodies(단일-리소스 본문) : 헤더 두 개(Content-Type, Content-Length)로 정의된 단일 파일로 구성
  • Multiple-resource bodies(다중-리소스 본문) : 여러 파트로 구성된 본문에서 각 파트마다 다른 정보를 가진다. HTML form과 관련이 있다.

HTTP Responses

: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는 메세지다. 

 

Status line : 예시로 HTTP/1.1 404 Not Found 가 있다.

  • 현재 프로토콜의 버전(HTTP/1.1)
  • 상태 코드 - 요청의 결과 (ex. 200, 302, 404 등)
  • 상태 텍스트 - 상태 코드에 대한 설명

Headers : 응답에 들어가는 HTTP headers는 요청헤더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대소문자 구분 없는 문자열, 콜론(:), 값을 입력한다. 값은 헤더에 따라 다르며 몇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 General headers : 메시지 전체에 적용되는 헤더. body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와는 관련이 없는 없다.
  • Response headers : 위치 또는 서버 자체에 대한 정보 (이름, 버전 등)와 같이 응답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갖는 헤더로, Vary, Accept-Ranges와 같이 상태 줄에 넣기에는 공간이 부족했던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
  • Representation headers : 이전에는 Entity headers로 불렀으며 body에 담긴 리소스의 정보(콘텐츠의 길이, MIME 타입 등)을 포함하는 헤더.

Body : 201, 204와 같은 상태 코드를 가지는 응답에는 body가 필요하지 않다.

  • Single-resource bodies(단일-리소스 본문) : 
    • 길이가 알려진 단일-리소스 본문은 두 개의 헤더(Content-Type, Content-length)로 정의
    • 길이를 모르는 단일 파일로 구성된 단일 리소스 본문은 Transfer-Encoding이 Chunked로 설정되어 있으며, 파일은 chnuk로 나뉘어 인코딩된다.
  • Multiple-resource bodies(다중-리소스 본문)  : 서로 다른 정보를 담고 있는 body이다.

 

 

Ajax

: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HttpRequest의 약자로, JavaScript, DOM, Fetch, XMLHttpRequest, HTML 등의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는 웹 개발 기법</span >

 

특징 : 웹 페이지에 필요한 부분에 필요한 데이터만 비동기적으로 받아와 화면에 그려낼 수 있다.

인스타그램이나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뉴스 탭 역시 비동기적으로 데이터를 서버에서 받아와 브라우저에 렌더링하는 것이고, 이러한 기법을 AJAX라고 부른다.

 

장점

  • 서버에서 HTML을 완성하여 보내주지 않아도 웹페이지를 만들 수 있다.
  • 표준화된 방법
  • 유저 중심 어플리케이션 개발 (일부만 렌더링 하기 때문에 더 빠르고 많은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 더 작은 대역폭
    대역폭 : 네트워크 통신 한 번에 보낼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

단점

  • SEO에 불리
  • 뒤로가기 버튼 문제 (별도의 History API를 사용하여야 한다.)

 

XHR과 Fetch

: Fetch 이전에는 XHR(XMLHttpRequest)를 사용하였다. Fetch는 XHR의 단점을 보완한 새로운 Web API이며 XML보다 가볍고 JS와 호환되는 JSON을 사용한다. 

 

 

 

 

 

 

어려웠던 부분

: HTTP 메세지 읽는 법

 

더 공부할 것

: HTTP

 

 

profile

드림오구

@드림오구